본문 바로가기
생활정보

주택청약종합저축 25만원 상향 아파트 구매 예정자가 모르면 손해보는 혜택과 주의사항 총정리

by DiveMaster. 2024. 9. 25.

 

주택청약종합저축의 월 납입 인정액이 10만 원에서 25만 원으로 상향되었습니다. 이 변화는 많은 기회를 제공하지만,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면 손해를 볼 수 있는 부분도 있습니다. 그럼 어떤 이점이 있는지, 반대로 어떤 부분에서 손해를 보지 않기 위해 어떻게 준비해야 할지 자세리 전달드리겠습니다.

 

주택청약종합저축 혜택과 주의할점 총정리 썸네일

주택청약종합저축 변경된 사항과 혜택 정리

월 납입 인정액25만원 상향

  • 기존에는 월 10만원까지만 주택청약 저축 인정액으로 계산되었으나, 이제는 월 25만 원까지 인정됩니다. 즉, 더 많은 금액을 저축할 수 있고, 더 빠르게 청약 점수를 올릴 수 있습니다.

 

청약 당첨 확률 증가

  • 공공주택 청약의 경우, 청약 점수가 높을수록 당첨확률이 높아지는데, 이번 상향 조정으로 인해 저축 총액이 더 빨리 쌓여 당첨 기회를 더 빠르게 잡을 수 있습니다

 

소득공제 혜택 확장

  • 청약통장을 통해 연간 300만원까지 소득공제 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. 이로 인해 더 많은 금액을 저축하면서 세금 혜택도 함께 누릴 수 있게 됩니다.

 

금리인상

  • 2024년 10월부터 주택청약종합저축의 금리가 2.3%~3.1%로 인상됩니다. 더 높은 금리를 적용받아 저축 금액도 늘어나게 되어 더 많은 이자 수익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. 지금과 같은 불안한 시기에는 더없이 좋은 혜택 중 하나입니다.

 


 


주택청약종합저축 높이면 손해! 주의해야할 점

저소득 가구의 부담

  • 월 25만원까지 저축하는 것이 경제적으로 부담스러울 수 있습니다. 저소득 가구는 자신의 상황에 맞는 금액으로 꾸준히 저축하는 것이 중요하며, 소득공제와 같은 혜택을 최대한 활용해야 합니다.

 

공공주택에 유리, 민영주택은 영향 제한

  • 공공주택 청약에서는 납입 금액이 클수록 담청 확률이 높아지지만, 민영주택의 경우 납입 금액보다는 가점제 등 다른 요소가 더 중요합니다. 민영주택 청약을 목표로 하는 분들은 청약 점수 회에도 가점 요소를 신경 써야 합니다.

 

주택청약종합저축 25만 원 꼭 저축해야 할까?

  • 25만 원을 꼭 채워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. 자신의 재정 상황에 맞게, 꾸준히 납입하는 것이 더 중요합니다. 큰 금액을 한 번에 저축하기보다는 꾸준함이 청약 성공의 핵심이라는 점을 기억하셔야 합니다. 뭐든 꾸준한 건 성공의 지름길입니다.

 


주택청약종합저축 손해를 보지 않기 위한 전략

 

청약통장 점검 후 납입 계획 세우기

  • 자신의 청약 통장을 점검하고, 이번 상향 조정에 맞춰 저축 계획을 다시 정비하세야 합니다. 만약 주택 구매 계획이 구체적으로 있다면 월 25만 원씩 꾸준히 저축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습니다.

 

소득공제 혜택 적극 활용

  • 청약 통장은 연말정산 시 세금 혜택까지 제공하므로, 납입액을 최대한 활용해 소득공제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.

 

청약 경쟁 대비 [전략적으로 저축]

  • 저소득 가구라면 25만 원을 모두 저축하지 않아도 됩니다. 대신 꾸준히 납입하고, 공공주택 청약을 목표라 하는 경우 청약 점수를 꾸준히 쌓아가는 것이 중요합니다.

 

주택청약종합저축 변화 제대로 활용하기

 

주택청약종합저축의 월 납입 인정액이 10만 원에서 25만 원으로 상향되면서 많은 혜택과 기회를 제공하지만, 자신의 상황에 맞는 납입 전략과 계획을 세우지 않으면 오히려 손해를 볼 수 있습니다. 청약 당첨 기회를 높이고, 세금 혜택도 놓치지 않으려면 이번 변화를 잘 이해하고 자신만의 저축 플랜을  세워 보시기 바랍니다.! 당청되는 그날까지 파이팅! 

 

반응형